Good Health

연금복권 1등 당첨액은? 본문

정보

연금복권 1등 당첨액은?

건강하자땡글아 2025. 2. 14. 15:33

연금복권이란?

연금복권은 매월 일정 금액을 연금 형태로 지급하는 복권으로, 한 번 당첨되면 오랜 기간 안정적인 당첨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.

목차

1. 연금복권 종류

2. 당첨금과 당첨 확률

3.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

4. 연금복권 구매 방법

5. 연금복권 장점과 단점

6. 연금복권 vs 로또 비교

7. 당첨 시 주의할 점

1. 연금복권 종류

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연금복권에는 '연금복권720+'가 있습니다.
• 연금복권720+
• 2020년 6월부터 기존 연금복권 520을 대체하여 출시됨
• 1등 당첨자는 매월 700만 원을 20년간(총 12억 원) 지급받음
• 2등은 1등과 같은 조에서 앞뒤 숫자가 같은 번호(2명)

2. 당첨금과 당첨 확률

연금복권 720+는 6자리 숫자(조 포함)로 구성되며, 총 7개의 당첨 등급이 있습니다.

등수 당첨 조건 당첨금 당첨 확률
1등 조 + 6자리 숫자 일치 월 700만 원 × 20년 (총 12억) 1/7,000,000
2등 1등과 동일한 조 + 앞뒤 숫자 월 100만 원 × 10년 (총 1억 2,000만 원) 2/7,000,000
3등 조 상관없이 6자리 숫자 일치 1,000만 원 1/1,000,000
4등 조 상관없이 5자리 숫자 일치 100만 원 1/100,000
5등 조 상관없이 4자리 숫자 일치 10만 원 1/10,000
6등 조 상관없이 3자리 숫자 일치 5만 원 1/1,000
7등 조 상관없이 2자리 숫자 일치 5,000원 1/100

• 1등과 2등은 조 단위로 당첨이 결정되며, 같은 조에서 1등 앞뒤 번호가 2등이 됨.
• 연금복권은 1등과 2등을 포함하여 조별로 3명만 당첨될 수 있음.

3. 세금 공제 후 실수령액

연금복권 당첨금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며, 소득세(20%)와 지방소득세(2%)를 합쳐 총 22%의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• 1등: 월 700만 원 → 세금 154만 원 → 실수령액 월 546만 원 (총 13억 1,040만 원)
• 2등: 월 100만 원 → 세금 22만 원 → 실수령액 월 78만 원 (총 9,360만 원)
• 3등(일시금 1,000만 원): 세금 22% 공제 후 780만 원 실수령

4. 연금복권 구매 방법

• 구매처: 전국 로또 판매점 또는 동행복권 공식 홈페이지(dhlottery.co.kr)
• 가격: 1장당 1,000원
• 발행 방식: 000000999999까지 7개 조(AG)로 발행

5. 연금복권 장점과 단점

✅ 장점
• 한 번 당첨되면 오랜 기간 안정적인 수익을 받을 수 있음
• 로또보다 당첨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음
• 일시금이 아니라 연금 형식으로 지급되어 한 번에 다 써버릴 걱정이 적음

❌ 단점
• 연금 형식이기 때문에 당첨금이 한 번에 지급되지 않음
• 세금이 매월 공제되어 실제 수령액이 줄어듦
•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20년 후에는 가치가 낮아질 가능성 있음

6. 연금복권 vs 로또 비교

항목 연금복권 720+ 로또 6/45
당첨금 월 700만 원 × 20년 (총 12억) 1등 평균 20~30억 원 (일시금)
세금 22% 원천징수 (매월 적용) 3억 원 초과 시 33%
당첨 확률 1/7,000,000 1/8,145,060
장점 오랜 기간 안정적 지급 한 번에 목돈 수령 가능
단점 당첨금이 분할 지급됨 확률이 낮고, 한 번에 탕진할 위험

7. 당첨 시 주의할 점

구매한 복권은 반드시 보관 (훼손 시 당첨금 지급 불가)
온라인 구매자는 본인 계죄로 자동 지급
연금 지급 방식 변경 불가 (일시금 요청 불가)
당첨금 수령 기한은 1년

 

연금복권은 한 번 당처되면 20년간 꾸준히 수입이 생기는 구조이므로, 오랜기간 안정적인 생활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한 복권입니다. 하지만 당첨금이 나눠서 지급 된다는 점에서 목돈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단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.